본문 바로가기
[oz코딩스쿨]사업개발캠프 7기

[oz코딩스쿨]BD를 위한 창업가 정신_2일차(12월 27일)

by 꿈꾸는 파도 2024. 12. 27.
반응형

 

SNS에서도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창업을 하는 것도 스토리텔링이 중요하고 마치 소설의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과 같다는 표현이 흥미로웠다. 소설이 가상의 이야기라면 가설을 설정하고 그것이 완성되는 현실을 직접 써가는 것.

같은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업에도 기승전결 스토리가 있어야 한다는 말은 유어셀린님한테도 들었던 말이였다.

 

* 아만다(데이트 앱): 오프라인 사교모임이 앱이 만들어 지기 전에 있었다가 얼평 점수가 채워져야 가입이 가능한 바이럴로 성장함.

 

*에브리타입: 대학생 앱 1등. 처음에 시간표 기능으로만 시작했다가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서 커뮤니키 기능도 추가함.

 

*리멤버: 명함 관리 앱으로 시작했다가 구직자, 인사담당자들이 모이기 시작하면서 구인구직 플랫폼도 추가함.

 

결국 최소자원으로 MVP(최소기능제품)을 만들어서 활요해다.

랜딩 페이지-아임웹

편집 프로그램 -망고보드  

스마트 스토어, 크몽, 탈잉, 숨고

 

마케팅 퍼널을

 

인지 호기심 몰입 의심 욕구 구매 재구매 돌다리로 표현해서, 이 중 하나만 부족해도 다음 단계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

 

페이스북 광고관리 탭에 들어가서 이벤트에 따라 고객을 다르게 분류하는 매커니즘. 

돈이 별로 없을 때에는 결제시작과 잠재고객 기능 이용할 것.

 

후킹을 할때 호기심, 넛지, 공감, 맏음을 이용해서 문구를 작성하고 후킹 문구들을 분석해서 이 4가지 중 무엇을 활용하는 

꾸준히 관찰하면 좋다.

 

의심에서 가치입증, 수치 명시적 표기, 권위 빌리기 등을 통해 의심 극복.

 

부가 자료에서 토스 대표님의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산다' 라는 영상을 봤다.

오늘의 교육자료의 핵심이 이 동영상에 다 담겨 있어 보인듯. 나의 언어로 표현한다면 카운터를 날릴 생각하지 말고 

잽을 날려라. 가볍게 여러 번 반복할 생각을 하라는 뜻. 실패를 가볍가 만들어라!(리스크를 최소화 하고 마인드 셋도 그렇게) 무조건 긍정적인 사고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